BioGraphy ShortStory

DaeSoo Kim

DaeSoo Kim was born in Seoul, Korea in 1955. His father was photographer HanYong Kim and his mother was SeCheon Yang, who gave birth to three daughters and one boy, DaeSoo Kim. He has no clear idea of when he first touched a camera, but it is said that by the time he was a five- or six-year-old boy, he used to take photos of elders in his neighborhood with a Petri Orikkor f2.8 28mm Halfsize.
He learned the basics of photography from his photographer father-shooting, developing film, and printing. After majoring in visual design at the Art College of Hongik University, he took charge of promotions and advertisements at Daewoo Corporation’s Planning & Coordination department.
It was after he majored in photography at Parsons-The New School of Design and the Pratt Institute that he started viewing photos as artwork. He married MiYoung Kim in 1988, and now has a son, JooSik, and a daughter, Sunny. His career as a photographer began to unfold in Korea when he returned to his home country and became a professor at Sangmyung Women’s University in 1988. He moved to his alma mater Hongik University in 1993, and has since nurtured many photographers who are active in their chosen fields.
Starting with his solo exhibition 《Creation and Then…》 in Insa-Dong in 1988, his artworks, including those unveiled at the group exhibition held at Walkerhill Art Center, were a huge sensation for they revealed how the way he created his work differed significantly from the mainstream photography trends in Korea at the time. For a decade until 1997, when he joined the group exhibition at Walkerhill Art Center, 《Essence of photography, Expansion of Photography》, Kim was at the heart of a creative movement that brought a new wave of photography to Korea with many solo and group exhibitions. And at the 1996 exhibition 《The Land of Wisdom》, Kim displayed his 10-year career as a photographer, and returned back to the black-and-white, true to zone system.
Later, he became the forerunner of large-scale works with 《East Sea Factory》, a piece describing beautility which was submitted to the Walkerhill Art Center. He also organized various group exhibitions, including 《The Calm Land》, 《The Great Korean》, and 《Still Life Gaze》. Through still objects and the people and land of Korea, he was dedicated to creating artworks based on how Koreans sense plastic art, and growing new talents. Among his solo exhibitions, he explored Koreans’ scholarly spirit, using bamboo and stars at the 1999 exhibition 《A road to the Sky》; created a metaphor of objects from nature for human life using various species of trees at the 2003 exhibition 《Trees from the People》, and depicted emotions and the sentiment of Koreans at the 2004 exhibition 《Sky Wind Stars and Me》. As such, he has been a consistent artist who has explored Koreans’ sense of plastic arts. From there Kim evolved into more abstract creations as displayed at the 2006 exhibition 《Sky Meditation》, and his adventures with visualization via photos still continue.
He was very successful in the 2009 Paris Photo, proving that Koreans’ artistic language can be globally accepted. During his one-year stay at Cité Internationale des Arts, Paris in 2011, he held a solo exhibition in France, contributed his works to an exhibition in Germany, and pushed ahead his career as a photographer in Basel in 2012. His pioneering work paved the way for Korean artists who wish to present Koreans’ standpoint on work of art on the global stage.

 

 

김대수(金大洙 Kim, DaeSoo)

김대수는 1955년 서울에서 사진가 김한용과 양세천 사이에 3녀 1남중 셋째로 출생했다. 사진기를 처음 접한 건 기억할 수는 없지만 5, 6세경에 Petri Orikkor f2.8 28mm Halfsize를 가지고 동네 어른들을 촬영해 주었다고 한다. 사진을 하는 아버지 밑에서 촬영과 현상, 인화작업을 하며 사진의 기본기를 익혔고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에서 시각디자인을 전공하였다. 졸업 후 대우실업 기획조정실에서 홍보와 광고 업무를 담당했다. 사진을 작품으로 인식하고 작업하게 된 것은 미국 유학으로 Parsons School of Design과 Pratt Institute에서 사진을 공부하면서 부터이다. 1988년 김미영과 결혼 김주식과 김선이 1남 1녀를 두었다.
1987년 귀국하여 1988년 상명여자대학교에 사진학과에 교수로 재직하면서 한국에서의 사진가로 활동을 시작하게 되었다. 1993년 모교인 홍익대학교로 자리를 옮겨 현재까지 대학원 사진전공을 통해 활발하게 활동 중인 많은 작가를 배출하고 있다. 1988년 인사동에서 개인전 《창조 그리고…》를 시작으로 워커힐미술관의 그룹전 《사진 새 시좌전》의 작품들은 기존의 한국의 사진과는 다른 작업으로 커다란 찬반 논란을 일으켰다. 그 이후 1997년 10년 만에 다시 기획 된 워커힐미술관의 《사진의 본질 사진의 확장전’에 참가하기까지 수차례의 개인전과 수많은 그룹전을 통해 한국의 새로운 사진 운동을 주관하는 중심에서 활동하였다. 그리고 1996년 《지혜의 땅》전을 통해 그 동안 10년간의 만드는 사진 작업을 마무리하고 초심으로 존 시스템에 충실한 흑백 작업으로 돌아온다. 그 이후 기능미를 주제로 다룬 《동해공장》 작업을 워커힐미술관에 출품하여 대형작업을 선도하게 된다. 또한 《고요한 나라》, 《대한국인》, 《정물시선》과 같은 그룹전을 주관하며 정물과 한국인, 한국의 땅을 소재로 한국인의 조형의식에 기반을 둔 작업과 작가 육성에 매진한다. 개인적으로는 1999년 《하늘 길》에서 대나무와 별을 소재로 한국인의 선비정신을, 다양한 나무를 소재로 2003년 《Trees from the People》에서는 인간의 삶을 자연물에 비유하는 작업을, 2004년 《하늘과 바람과 별과 나》 작품을 통해서는 한국인의 서정을 표현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이러한 일관된 한국인의 조형의식 작업은 2006년 《하늘 명상》전을 통해 더욱 추상적인 개념으로 발전시켰으며 사진 시각화에 다양하고 꾸준한 모색을 시도하고 있다.
2009년 좋은 성과를 거둔 파리포토 참가는 한국인의 조형언어가 국제화 할 수 있는지를 타진하는 기회였다. 2011년부터 파리 시테 인터내셔널에 작가로 1년간 머물면서 프랑스에서의 개인전과 독일에서의 전시 그리고 2012년 바젤에서의 활동으로 한국인의 조형언어를 국제무대에 세워 활동하는 작가의 기반을 만들어가고 있다.